'Virtual World Trade Center'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4.07.05 HARUN FAROCKI 하룬 파로키 ⓑ

HARUN FAROCKI 하룬 파로키 ⓑ

HARUN FAROCKI 하룬 파로키 

한 눈에서 손아귀에 거머쥐기까지

Frédérique Joseph-Lowery

 

MoMA 에서,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의 36편의 영화를 구매하여, 회고전(2012년 1월 2일까지)을 준비하고 있다. 고정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사고를 하게하는 영화들이다. 이 의 실험영화들은 이질적인 영화 매체들을 바꾸거나 산업용 영상이나 군사용 영상, 정치적 영상 등에서 추출한 이미지들을 이용한 것들이다. 이 행동파적 다큐멘터리는 누벨 바그 Nouvelle Vague 영화나 다이렉트 시네마 Direct Cinema [각주:1]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회고전은 월드 트레이더 센터 World Trade 기념비 설립일과 날짜가 겹친다. 파루키의 전시로 MoMA 는 수많은 뉴욕 예술가들이 추도의 태도를 취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군사적인 형태로 여기에 참여하고 있다. 워싱턴의 베트남전 기념비를 보여주는 전달 Transmission  을 MoMA PS1 에서 상영하거나 MoMA Midtown 에서 관객들이 직접적으로 이라크 군인들을 만나도록 하고 있다. 전시의 제목 les Images de Guerre (à distance) 을 너머에 두고 말이다.

 

 

HARUN FAROCKI 하룬 파로키 ⓐ  에 이어...

 

 사상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단지 손가락만 움직여서 감흥을 유도하는, 고도로 산업화된 나라를 보라. 전시 상황과 이 인도 출신의 영화작가가 만나서 극적인 감각을 유도하는 것을 보라. 나는 작가에게 오바마 Barack Obama 가 오사마 빈 라덴 Oussama Ben Laden 의 죽음을 목도하는 광경을 보았는 지 묻지 않을 수 없었다. 걸프전의 이미지처럼 실전용의 이미지처럼 영화 속 이미지를 연출한 것인지 질문한 적이 있다. 우리는 베트남전과는 대조적으로 어떠한 실제적 신체가 보이지 않고, 거대한 타원형의 조준 과녁만이 존재하는 걸 볼 수 있다. 거기에는 단지 목표가 몇 킬로미터에 있는 지 거리를 알려줄 뿐이다.

 또한 우리는 오바마와 그의 측근들이 스크린을 보는 광경은 마치 상대국가의 수장의 처형식을 지켜보는 지도자를 연상케한다. 오직 한 사람만이 차마 그 장면을 지켜보지 못할 뿐 : 그는 바로 힐러리 클린턴 Hillary Clinton 이다. 그리고 거기에서 사람들은 그녀의 손짓과 눈짓을 볼 수 있었다.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는 후에 백악관 측에서 당시 상황에 대해 이렇게 변론했다는 것을 지적한다 : 국가의 수호자는 초조하지 않았다, 단지 《알레르기로 고통을 받은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반면, 이 시각장치에서 오바마의 위치는 무엇인가? 모든 것을 위에서 지켜보는, 바로 신과 같다. 대통령 취임식이 종교의식은 아니지만, 오바마는 정치적인 입장에서 신이다. 그리고 시편 46절에 적혀있는 글귀를 인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조용히 하라. 그리고 내가 신이라는 것을 명심하라. 》

 세계 최강국의 정점의 위치에 선 그의 눈짓으로 모든 이름들을 명한다. 그리고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의 영화는 이러한 일련의 사건과 관련하여 비판적 시선을 가지지 않는다. 예술은, 우리의 현실에 발붙인 이야기가 아닌가? 오히려 우리를 공허하게 할 것인가? 

 

 

 

 

《 두 가지 질문 》

두 가지 질문이 나를 괴롭힌다. Serious War Game3 에서 치료사들이 환자로 가장하여, 치료 훈련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들은 군사훈련 용으로 제작된 비디오 게임처럼 매우 단순화된 치료 훈련에 참여면서,동시에 3D 이미지로  《침수당한》환자를 치료하 는 것이다. 마치 전쟁을 훈련하듯, 치료를 훈련받는다(3).[각주:2] 

 이 침수실의 프로그램에서,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는 파블로프의 이론을 설명한다. 사람들이 침 흘리는 개들 처럼 트라우마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필자는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에게 이런 행동주의 이론이 너무 충격적이라고 말하였다. 특히 더욱 놀라웠던 것은, 일부 공공기관들이 돈을 긁어모으기 위해 파블로프의 이론을 적극 활용하면서 그것으로 만족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훈련에서 치료받는 환자는 《진짜》환자들이 아니란 것을 알게된 관객들은 항의할 수 있겠지만, 치료사들은 그들의 진실은 별로 중요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바로 클레쇼프 Koulechov 효과[각주:3]이다. 《 로베르토 로셀리니 Roberto Rossellini 의 영화에 대학살 장면 과 죽은 강아지 이미지 전에 각각 잉그리드 버그만 Ingride Bergman 의 이미지를 배치한다.  》 여기에서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가 바라보는 것은 군인들의 고통이 아니라 치료사들이 조작하고 받아들인 방식이다 : 클릭 한번으로 이 3D 로 만들어진 눈동자에 공포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점점 손짓과 눈짓 사이의 감정적 거리는 더욱 멀어진다.

 두번째로 가지게 되는 질문은 작가 스스로의 관점에 따른 것이다. 필자는 이렇게 묻는다 : 《 당신은 눈처럼 손으로 더욱 잘 본다, 그렇지 않은가? 《그래도 눈이 필요하다》라는 것이, 그의 대답이다.  《그래도》, 하지만 이 말은 눈이 제일 중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 하루는 내 안경을 잃어버렸습니다. 나는 사람들이 움직이는 것으로 그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경찰들이 사람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얼굴들을 보는 게 아니라 몸짓으로 구분하는 편을 더욱 믿는 것처럼 말이죠.

 

 

 l'Expression des mains 에서,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는 그의 안경을 벗고《 보다 멀리 》바라본다. 그리고 이미지 위에 목소리를 중첩시킨다.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가 가지는 얼굴에 관한 불신은 자전적인 영상을 만들기 이전부터 어느정도 시간이 걸려서 만들어진 것이었다. 필자는 아그네스 바르다 Agnès Varda 의 영화인, 이삭줍는 사람들과 나 les Glaneurs et la glaneuse 에 대해 말했다. 여기에서 감독은 암스텔담의 우편엽서와 렘브란트 Rembrandt 의 모든 자화상을 카메라로 비추고 있다.

 손으로 얼굴을 가리는 이 영화작가를 보면서, 그것이 바로 그녀의 자화상이란 생각이다. 한편, 길 위에서 인물을 지나쳐가는 자동차를 붙잡는 것도 그녀의 손이다.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얼굴 위에 드리워진 큰 그림을 모방하면서, 바로 말하는 영화를 개발한 셈이다. 기억나는 것은 손의 주름이다. 그래서 Interface 에서는 각기 다른 연령대의 손을 마치 자화상처럼 촬영하였고,  l'Expression des mains 에서는 단순히 이 이미지가 액체처럼 흐르면서 얼굴로 변하도록 한 것이다. 

 1960년에 마르크 가랑제 Marc Garanger 가 구성한 알제리 여성의 사진들에서 얼굴을 뒤덮는 손 또한 그들의 자화상이 아닐까? 소작주에 의해 대중 앞에서 발가벗겨진 채, 입을 막고 서있는 손 위로, 그의 이런 목소리가 겹친다 : 《 두 눈은 보기 위해 거리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입은 맛을 보기 위해 가까이해야 한다.》여성의 입은 손이 막고 있는 반면에, 그의 사진에 나타난 시선은 뒤로 물러나 있다 : 거리, 여기서 우리는 브레히트 brechtienne 을 연상할 수 있다. 하지만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에게 거리는, 육체로 나타나는 것이다.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1944 년 Novy Jicin 출생.

베를린.비엔나 거주.작업

 

개인전

2011    Center for Contemporary Art, Glasgow

Beirut Art Center , Beyrouth ; Galerie Ropac , Salzbourg

Harun Farocki 는 Thaddaeus Ropac 갤러리에 의해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에서 소개되었고,

독일에서는 Barbara Weiss (Berlin) 갤러리에 의해, 미국에서는 Greene Naftali Gallery (New York), Angels Barcelona 에 의해 스페인에서 소개되었다.

 

 

출처        :    artpress #385.2012.04

기사        :     Frédérique Joseph-Lowery

번역        :    PLONGEUSE ( zamsoobu )작성일 2012.06

  1. 다이렉트 시네마 [ direct cinema ] 글자크기보통 크기로 보기크게 보기가장 크게 보기 1960년대 미국에서 발전했던 다큐멘터리 운동. 다이렉트 시네마라는 명칭은 영화감독인 앨버트 메이슬리스(Albert Maysles)가 제안한 것으로 주제가 되는 사안에 대해서 직접적, 즉각적, 실제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것은 초기 다큐멘터리들이 보여 준 조작된 것들, 즉 계획된 내러티브를 거부하는 경향이다. 사건은 예행 연습 없이, 최소한의 편집만으로 정확하게 기록된다. 등장하는 사람들은 지시 사항이나 간섭을 받지 않고 발언할 수 있으며, 자신의 발언 목적이나 태도, 심리를 무의식중에 드러내도 상관없다. 카메라는 사건을 만들어내지 않고 객관적으로 촬영하며, 줌 렌즈(zoom lens)를 이용하여 발언이나 행동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대상을 클로즈업한다. 줌 렌즈는 대상이 노출되기를 기다리면서, 대상에 직접 초점을 맞춘다. 이런 종류의 다큐멘터리는 로버트 드류(Robert Drew)와 리처드 리콕(Richard Leacock)이 제작한 TV 다큐멘터리 작품에서 처음으로 크게 발전했다. 이들은 위스콘신에서 있었던 허버트 험프리(Hubert Humphrey)와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간의 예비 선거 경쟁을 〈프라이머리〉(Primary, 1960)라는 영화로 제작했다. 드류의 동료들은 ABC 방송의 〈클로즈업〉(Close Up, 1960) 시리즈에 공급되는 수많은 영화들을 찍었고, 이 그룹 출신인 돈 페니베이커(Don Pennebaker)는 가수 밥 딜런(Bob Dylan)에 관한 영화 〈뒤돌아 보지 마라〉(Don’t Look Back, 1967)를, 앨버트 메이슬리스와 데이비드 메이슬리스(David Maysles)는 〈세일즈맨〉(Salesman, 1969)을 제작했고 두 작품 모두 상업 극장에서 상영되었다. 텔레비전과 다큐멘터리 작품에서 따온 다이렉트 시네마의 기법은 TV와 다큐멘터리용으로 개발된 촬영 장비를 활용했다. 이를테면, 손으로 들고 다니는 작고 가벼운 카메라와 동시 녹음이 가능한 음향 기기, 자연광을 사용하는 고속 필름, 멀리서도 대화를 잡아낼 수 있는 마이크로폰 그리고 카메라를 들고 움직이지 않아도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줌 렌즈 등이 있었다. 이런 영화들은 입자가 굵고 콘트라스트가 높은 영상, 부자연스런 음향과 들쑥날쑥한 목소리, 또는 촬영 기사의 움직임이 느껴지는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해 아마추어 수준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 모든 아마추어적 요소들은 관객들이 감독의 작품을 보는 것이 아니라, 영화 속에서 일어난 행위들을 있는 그대로 느끼게 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다. 프레데릭 와이즈먼(Frederick Wiseman)은 다이렉트 시네마의 기법을 이용해서 〈티티컷 폴리〉(Titicut Follies, 1967), 〈고등학교〉(High School, 1968) 등 인상적인 다큐멘터리를 만들어냈다. 여기서 활용된 기법은 수많은 콘서트 영화를 좀 더 역동적으로 편집하는 데 쓰였다. 메이슬리스 형제가 롤링 스톤스가 공연한 알타먼트 록 페스티벌을 기록한 〈김미 셸터〉(Gimme Shelter, 1970)가 한 예인데 그들은 페스티벌의 구석구석을 기록하기 위해 많은 카메라를 배치하고 청중들 속을 누비고 다니는 카메라를 이용했으며, 정교한 플래시백을 이용하는 등 보다 표현주의적이고 복잡한 편집을 시도했다. 또한 이동 기구를 사용해서 피사체에 직접 접근하는 방식은 존 카사베티스(John Cassavetes)의 픽션 영화에 영향을 주었다. 카사베티스의 〈얼굴〉(Faces, 1968)과 〈남편들〉(Husbands, 1970)은 일반적인 상업 영화보다 훨씬 현실과 유사한 시점을 보여 준다. 다이렉트 시네마와 함께 프랑스에서 동시에 발달하여 동일한 기법과 도구들을 활용한 시네마 베리테(cinéma vérité)는 다이렉트 시네마와 같은 경향으로 서로 혼동되는 측면이 있지만 훨씬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화에 감독의 목소리를 삽입시킨다거나 대상에게 질문을 던져 인터뷰를 하는 등 다양한 실험적 장치를 시험한다. [본문으로]
  2. (3) 이 방법의 창안자는 Albert Rizzo 이다. 1997년 베트남전의 베테랑과 함께 아틀란타에서 실험적용되었다. Virtual Afghanistan 과 Virtual World Trade Center 에서 일어날 것이다. [본문으로]
  3. .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