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울 루이즈'에 해당되는 글 6건

  1. 2013.08.14 라울 루이즈 Raoul Ruiz ; 마지막 강연

라울 루이즈 Raoul Ruiz ; 마지막 강연

편집감독이자 라울 루이즈 Raoul Ruiz의 동료인 발레리아 사미엔토 Valeria Sarmiento 는 칠레로 돌아왔다. 라울 루이즈 Raoul Ruiz 의 장례식을 위해서였다. 그는 파리의 벨빌에 있는 라울 루이즈 Raoul Ruiz 의 미궁같은 아파트 문을 열어주었다. 거실의 테이블 위 여러 책들 사이로, 그가 마지막으로 읽은 책 2개가 있다 : 양자역학책과 이탈로 칼비노Italo Calvino [각주:1]의 소설이다. 라울은 123편 이상의 영화를 만들었지만, 미발표 영화도  있다고 발레리아는 말한다 : 장 루이 쉐페르 Jean Louis Schefer 가 평가한 화가에 관한 영화를 만들기 위해 영국인 제작자의 관심을 끌려고 했다는 기록도 있다. 라울은 배우의 파라독스 Paradoxe d'acteur 의 경우에, 영화 Navarro 를 찍을 당시 로제 아닝 Roger Hanin [각주:2] 과 함께 촬영을 할 것을 예상했었다. 그날에 Ce jour-là (2003) 를 찍을 당시, 그는 배우들에게 인물에 대해 알려주기 위해 작은 이야기들을 마분지에 썼었습니다. 2009년 6월, 루이즈Raoul Ruiz 가 강연에서 밝힌 바에 따라, 주도적으로 다시 제작하게 되었다. 밀라노에서 매년 열리는 문화 표명행사대회인, La Milanesiana 에서 한 강연이었다. 이러한 그의 통찰은 Poétique du cinéma 의 다음 3번째 문집에서 반영되었을 지 모른다. 1995년과 2006년 사이에 2권까지 Dis-Voir 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내 삶을 위한 변호Apologie pro vita sua 나 나의 삶을 정의하는 데 이러한 무지개의 개념이 사용된다.
 나는 거의 68세이며, 사람들이 반복하곤 하는 무례한 말들을 받아들여야 한다 : 우리는 스스로 연기를 내는 존재이며, 보다 비밀스럽게 무언가를 숨기고 있다 : 우리는 우리 자신을 태우고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 보다 이치에 맞다 : 우린 우리 스스로가 될 것이다 : 위기에 몰린 전장의 군인은 사기를 높인다.
 스페인에서, tempête(;격동) 를 말하기 위해 temporal(;) 이란 단어를 가끔 쓰곤 한다. 내가 추구하는 격정적인 예술을 정의하기에 알맞은 단어다. 영화는 일시적 순간과 지옥의 시간의 폭풍우다. 
 선의의 예술과 악운의 예술[ 스페인어로는 이렇다 : arte del mal tiempe y la buena cara , ndt], 영화는 그 것을 보는 사람들 속에서 불멸한다. 여기엔 기적 없는 순간이란 없다라고 칼데옹 드 라 마카 Caldéron de la Barca의  auto sacramentales [스페인 전통 종교연극 장르]  에서는 말한다. 그리고 그 전에도, 성 오귀스탱 Saint Auguistin 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했다 : 보시오, 기적은 현실에 반대되는 것이 아니오. 오히려 현실적이기 위해 기적을 취하는 것이오. 그렇게 오래된 일은 아니다. 제임스 조이스 James Joyce 는 이 불안정한 역설을 설파했다 : 현실주의 작가는 우리가 설명할 수 있는 현실의 아주 미세한 부분에만 관심을 가진다.
 그러므로 내가 실험하는 예술은 영화이다.
 영화, 그것은 설명이 불가능한 이미지이며, 기적적인 것이다.  인 것 같다 On dirait que 의 이미지는 아이의 표현에 따라 달라진다. 다시 말해 웃음을 위한 이미지인 것이다. 그리고 in giro [ 《주변》,ndt ]세계를 포착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요약하자면, 이 애매모호한 서문을 통해 하나의 태도를 명확히 하는 것 뿐이다. 영화적 실험과 이론에 번갈아 뒤를 잇고 있는 것이다. 이론 실천에서부터 유행을 타지 않는 표현을 하기까지.
 내가 번갈아 뒤를 잇는다고 했던가? 확실히 모르겠다. 이론이 촬영에 자주 영향을 미치곤 한다. 그래서 이론적인 연구기간에는, 어떤 추상적 수수께끼를 허구적으로 어떻게 풀어낼 것인가를 심사숙고한다.[...]
 모든 게 확신이 든 후에 진행한다. 그래서 적어도 내 경우에, 이론화와 추상적 사고는 영화를 만드는 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허구는 이론의 합당한 증거나 묘사가 아니며, 이론 역시 영화적 행위로 일반화될 수 없다.  
  내가 생각하는 것들을 재해석하고 요점을 추리기 위한 시도이다. 가끔 내 존재와 내 상황에 의해 이런 생각은 거부당한다. 가끔 혐오스럽기까지 하다. 생각들과 특히 의견들은 신발 속의 조약돌 같다. 걷는 데 방해가 되지만, 아예 못 걷게 하지는 않는다. 그게 우리를 다치게 하거나 고통을 심하게 줄 때까지는.
 내 영화와 생각들의 역사는 수많은 감염의 역사와 같다.[...]
 50년대 말 이래로 1962년까지 내가 써온 텍스트들 중 첫 글에서, 내 첫 영화, La maleta [ 《La valise 가방》, ndt ]를 만들었다. 이 영호는 두 가지 주제에 관한 것이다 : 잠재적 허구의 하나와 인 가소성의 인과결과에 따르면서도 독립적인 분자의 개념 간의 관계이다.
 내가 방대하게 논의를 해오며 개발시킨 부분는, 당시에 유행이었던 이야기 중심의 영화에 맞서서 일관성이 없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 3부분의 구조, 중심에 충돌, 빈약한 정신세계의 인물들 (인물들에 대한 생각은 내가 보기에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주인공과 주변인물, 그리고 카메오, 엑스트라 사이의 위계를 무너뜨리는 거이었다. 나는 또한, master shot , etablishing shot, single 등의 공간 구조도 포기했다. 그때, 카메라 앞의 인간 존재를 극한으로 연결지어 구성하려는 시도를 하려했다 : 바로, 얼굴과 손이다. 두 신체기관을 카메라를 사용하여(계속 카메라를 움직이게 하였다 : 액션과 리액션, 또는 주의를 끄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아예 없애버리도록 하였다 ) 강조하거나 느슨하게 긴장을 풀어나갔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렇다 : 카메라 무빙의 기법을 감소한 것이다. 간단한 기술이지만 의미를 부여했다 : 예를 들어, 공간에 인물들이 주도적으로 보이지 않게 하였으며, 그 곳에서 벗어나려는 인물들을 포착하려고 했다.
 Il Bosco 술집에서 그때 가졌던 모임을 기억한다. 내게 반대하는 목소리를 기다렸다. 또한, 호의적 비판도 기대하고 있었다 : 당신은 영화에 대해 말하는가, 혹은 당신은 리드미컬한 행동을 묘사하도록 하는가? 가끔, 내 기억은 보다 최근의 것과 중첩된다. 덜 호의적이면서 열정이 식은 것으로 :: 당신은 영화에 대해 말하는가, 혹은 양자학적인 신체에 대해 말하는가?
 내 안의 것들이 많이 바뀌지 않았음을 알아야 한다. 영화를 찍기 위해 이론화시키고, 이론화시키기 위해 영화를 찍는다. 이 두 행동은 교차되면서 서로 융합된다. 나는 연출과 이론을 분리시킬 수 없다. [...] 허구로 발전시키지 않고는 추상적 이야기를 계속 할 수 없고, 이론적 사고 없이 허구를 개발시키는 건 불가능하다. 나는 20세까지 논리학자가 꿈이었다는 이야기를 빠뜨리곤 했다. 자연스럽게 분석적 철학을 받아들였고, 괴델[각주:3] 과 화이트헤드 Whitehead [각주:4]이며, 그들은 명석 • 판명한 인식 추구와 언어 관용의 한계 내에서의 분석에 안주해서, 우리들 사상의 근본적 전제에 반성을 가하고자 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이 반성이야말로 철학이며, 이 사상적 모험을 억지로 하는 철학이 <사변학파>이다. 화이트헤드는 사변철학을 <그에 의거해서 우리들 경험의 모든 요소가 해석될 수 있는, 일반적 관념의 정합적, 논리적, 필연적 체계를 조립하려는 노력>이라고 정의하는데, 그에는 경험적과 합리적인 양 측면을 갖춘 그 자신의 철학의 요약이다. 화이트헤드의 철학은 <프로세스 철학>, <유기체의 철학>으로서 특징지어지는데, 그것은 경험 및 세계를 동적ㆍ아톰적인 것으로서가 아니라, 매우 근원적인 방법드로 동적 • 시간적인 것, 그 전체를 창조적 과정으로서 보기 때문이다. 통상 독립적 사물이나 사실로서 이해되고 있는 것은 세계 전체로서의 창조적 과정 중에서 비로소 성립하고, 의미를 가지는 것이며, 또한 그들 사물의 각각이 전체를 반영하는 창조적 과정이며, 경험이라고 한다. 그는 이런 창조적 과정에서 발견되는 질서의 근원을 신이라고 하는데, 그것은 프로세스 중에 있는 것으로서 유한한 동시에, 프로세스에 대해서 확정을 주는 초시간적 근원인 한 무한한 자이다. 화이트헤드는 자신의 형이상학과 정합적인 이 신개념이 전통적인 초월적 무한존재라는 신개념보다도 그리스도교적이며, 복음서가 주장하는 신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한다고 생각되며, 이 사고방식이 오늘날 <프로세스 신학>으로서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지기에 이르고 있다." height=14 valign="top"> 의  무한함을 거부하였다. 거의 알아들을 수 없이 난해해서 호흡정지가 생길 정도였다. 나는 그것을 형이하학적인 허구로 보다 간결하게 추상화시키면서 해결하나갔다.
 나는 핵심적인 두 단어를 말하게 되었다 : 감소와 물질이다. 감소란 단어는 복잡한 이론을 장면으로 풀어낼 때 떠올려야 한다. 그리고 물질은 그런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묻어나야 한다.[...]
 모든 논쟁들을 통틀어, 아주 혼란스러웠던 논쟁들이 떠오른다. 내가 20세에 느꼈던 분노이다. 나는 모든 멍청한 교수들이 있는 대학으로부터 등 돌렸다. 즉, 그들은 자신만의 고립된 은어들 속에 갇혀서, 몽매하였으며, 지팡이 없는 맹인이면서, 나무에 부딪히지 않고는 길을 걸을 수 없는 지경이었다.
 나의 사변은 전체적으로《구성주의적》이다(즉, 주제를 벗어난다. 임시적이든, 영원하든). 《미국 전쟁》이었을 때, 게릴라전은 실패로 평가되었지만, 훌륭한 실패였다( 《즉, 나는 나무나 새들에 둘러싸여 죽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페루의 시인,자비에 에로 Javier Heraud가 전투 중에 죽으면서 남긴 말이다 ).
 나는 상대가 영화인들, 불안정한 영화인들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야 한다.  5년마다 많은 명칭과 예감을 털어놓는 수학자들, 건축가들, 형이상학자들-하이데거에 절대적인 모든 적들이다(현재까지도 변한 게 거의 없는).
 우리는 어쨌든 젊다(그리고 아직 바뀐 것이 없다고 말해야 겠다). 신기하게도, 우리는 모두 좌파이다. 레닌과 피델 카스트로 Fidel Castro 의 《우리》라는 개념을 확신하는 것에 조소를 보내는 친절한 좌파이다 :  《우리》라는 것은, 뉴욕에서 카스트로가 그의 행렬을 향해 말한 것이다 ;  
《우리》는 죽음까지 싸울 것이다, 라고 그 자신과 다른 이에게 말했다. 축제의 정신이 우리를 동요시킨다. 대홍수 전에, 모든 것을 체념하듯이.[...]
 나는 아직까지도 이론들을 기억한다 : 줄리오 가르시아 에스피노사 Julio Carcia Espinosa 의 미완성작은, 열린 구조와 영감이 풍부한 정치적 저항영화이며, 괴상한 혁명의 옷을 걸치고 있는 현재에 특히 중요한 주제를 담고 있다. 또한 혁신적이었던 글로베 로샤 Glauber Rocha[각주:5] 의 수수께끼같고 다채로우면서 시적인 정치적 담론도 기억한다. 전혀 이성적인 건 아니었다.
 그것은 연약하고 부러지기 쉬우면서 비밀스러운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었다. 글로베 로샤 Glauber Rocha 는 그의 서재에서 상징과 다른 수수께끼들이 왕래하는 것을 꿰뚫어보곤 했다. 나는 어떤 불길한 상징을 기억한다 : 카메라가 경기관총이며, 영화는 군대이고, 촬영하는 것은 전투이다. 바로 제3차 세계대전인 것이다. 이런 생각은 너무나 멀리가서 이상한 이론이다.
 나는 아르헨티나 영화감독이 이런 말을 하는 걸 들었다 : 《 당신 영화가 적들을 시험에 들게 하는 데 쓸 수 없다면, 아무 쓸모도 없는 것입니다. 》 그래서 소심한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카메라가 별 효과가 없는 무기이다. 왜냐하면 포탄을 던지는 대신에, 카메라는 지켜보면서 담을 뿌니다. 그래서그런지 아르헨티나인이 나를 한심한 눈으로 보면서, 내 어깨를 툭 치며 이렇게 웃으며 이야기했다 :  《 당신은 친절한 광인이군요.》
  가끔 나는 몇몇의 이론에 따라, 우리가 사는 세계에서 없는 또 다른 세계를 이끌어내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말한다 : 아니다, 카메라는 기관총이 아니다. 하지만 저항의 도구가 될 수는 있지. 혹은 기계적인 각성기구이거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각성은 다른《세계》를 꿈꾸도록 한다. 우리의 것이 아닌.
 그래서 가끔 나는 요즘에 반대되는 수사학을 다시 이용하고 싶다. 예를 들어 이런 거다 :  《마을들을 지구촌화하거나 세계를 지역화시키는 것에서 탈피한 수수께끼로 모호한 허구를 위해 저항한다 》.
  시장 원리와는 반대로. 해적들이 가치 절하시키는 불법 거래등에 반대로. 유일하게 생존한 별은 죽은 별이다( 이해하자면 : 영화들은 그 출영한 배우들이 사망했을 때에 단 한번 보여질 수도 있다 ). 그리고 그 다음이 계속될 것이다...
 시간은 흐른다. 모든 이론과 실험들이 영화 속에서 긴장관계를 유지하며 이뤄진다. 항상 이론을 생각하며 연출을 준비한다. 그래서 깊은 사고(충동적 아이디어들도) 들을 영화로 만들면서 보다 명확해지고 이해가 가능해진다.
 영화감독으로 첫 발을 내딘 해에, 정치적 행동을 준비하는 것처럼 촬영을 준비하곤 했다 : 행위, 프로그램, 그리고 주창. 점점 나는 이런 법칙을 수정해나갔고 지금은 이론들을 정체시키면서, 그리고 늘 치즈를 먹듯 편안하게 그것을 장면과 시퀀스에 안착시킨다. 혹은 포도주를 마시듯. Cultura, coltura [ 이탈리어어로 cultura 라는 단어를 풍부한 정신성이라 하고, coltura 는 비옥한 토지를 가리킨다, ndt ].
   그래서 나는 이렇게 자문한다 : 이론이 촬영에 영향을 끼치는가 혹은 그 반대인가? 영화를 만드는 것 ( 이렇게 말하곤 했다, 왜냐면 이미지의 몸에서 훌륭한 부분은 자생적 영화의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 은 움베르토 Humberto Maturana [각주:6]가 말했든, 자가 생성되는 의미와 부합한다. 모든 걸작들이 가지는 무언가가 있다 : 바로, 빛나는 별이다 ( 존 부어맨 John Boorman[각주:7] )

                   
출처                                      :  CAHIERS DU CINéMA #671. 2011.10
기사 [스페인어-불어 번역]     :  Marién Neveu-Agero
불어-한국어 번역                   :  PLONGEUSE ( 잠수부 ).[작성. 2012.02.10]
  1. Italo Calvino (15 October 1923 – 19 September 1985) (Italian pronunciation: [ˈiːtalo kalˈviːno]) was an Italian journalist and writer of short stories and novels. His best known works include the Our Ancestors trilogy (1952–1959), the Cosmicomic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1965), and the novels Invisible Cities (1972) and If on a winter's night a traveler (1979).Lionised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he was the most-translated contemporary Italian writer at the time of his death, and a noted contender for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1] [본문으로]
  2. Roger Hanin (born 20 October 1925) is a French actor (and film director), best known for playing the title role in the 1989–2006 TV police drama, Navarro. [본문으로]
  3. Kurt Friedrich Gödel (German pronunciation: [ˈkʊʁt ˈɡøːdəl] ( listen); April 28, 1906 – January 14, 1978) was an Austrian logician, mathematician and philosopher. Later in his life he e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to escape the effects of World War II. One of the most significant logicians of all time, Gödel made an immense impact upon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thinking in the 20th century, a time when many, such as Bertrand Russell, A. N. Whitehead and David Hilbert, were pioneering the use of logic and set theory to understand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2]Gödel is best known for his two incompleteness theorems, published in 1931 when he was 25 years old, one year after finishing his doctorate at the University of Vienna. The more famous incompleteness theorem states that for any self-consistent recursive axiomatic system powerful enough to describe the arithmetic of the natural numbers (for example Peano arithmetic), there are true propositions about the naturals that cannot be proved from the axioms. To prove this theorem, Gödel developed a technique now known as Gödel numbering, which codes formal expressions as natural numbers.He also showed that neither the axiom of choice nor the continuum hypothesis can be disproved from the accepted axioms of set theory, assuming these axioms are consistent. The former result opened the door for "working mathematicians" to assume the axiom of choice in their proofs. There are many important results whose only known proofs use the axiom of choice, which is equivalent to Zorn's lemma. He also made important contributions to proof theory by clarifying the connections between classical logic, intuitionistic logic, and modal logic. [본문으로]
  4. Alfred North Whitehead, OM FRS[1] (15 February 1861 – 30 December 1947) was an English mathematician who became a philosopher. He wrote on algebra, logic, foundations of mathematics, philosophy of science, physics, metaphysics, and education. Whitehead supervised the doctoral dissertations of Bertrand Russell and Willard Van Orman Quine, thus influencing logic and virtually all of analytic philosophy. He co-authored the epochal Principia Mathematica with Russell. [본문으로]
  5. Glauber de Andrade Rocha (March 14, 1939 – August 22, 1981) was an influential Brazilian film director, actor and writer. He is best known for his movie Deus e o Diabo na Terra do Sol (aka Black God, White Devil) from 1964. [본문으로]
  6. umberto Maturana (born September 14, 1928, in Santiago, Chile) is a Chilean biologist and philosopher. He is considered a member of the second wave of cybernetics, known for developing a theory of autopoiesis about the nature of reflexive feedback control in living systems. [본문으로]
  7. n Boorman (born 18 January 1933) is a British filmmaker who is a long time resident of Ireland and is best known for his feature films such as Point Blank, Deliverance, Zardoz, Excalibur, The Emerald Forest, Hope and Glory, The General and The Tailor of Panama. [본문으로]